조지아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아의 대통령은 조지아의 국가 원수이며, 1991년 조지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설치되었다. 초대 대통령은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였으나 쿠데타로 축출되었고, 이후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가 국가 원수 직을 수행하다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003년 장미 혁명 이후 미헤일 사카시빌리가 대통령이 되었으며, 2013년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슈빌리 대통령 선출 이후 의원 내각제로 전환되었다. 2018년 살로메 주라비슈빌리가 조지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2024년 미하일 카벨라슈빌리가 조지아의 대통령이 되었다. 대통령은 국가 원수, 군 최고 사령관, 대외 대표의 지위를 가지며, 2010년 헌법 개정을 통해 권한이 축소되었다. 대통령은 면책 특권을 가지며, 조지아 대통령 행정실이 대통령의 권한 행사를 지원한다. 대통령기는 조지아 국기 중앙에 조지아 국장을 새겨 넣어 제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대통령 -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는 조지아 공산당 제1서기, 소련 외무장관, 조지아 대통령을 역임하며 냉전 종식에 기여했으나, 재임 기간 중 부패와 민족 분쟁에 직면하여 장미 혁명으로 퇴임하고 2014년 사망했다. - 조지아의 대통령 - 미헤일 사카슈빌리
미헤일 사카슈빌리는 조지아의 정치인으로, 장미 혁명을 통해 대통령이 되어 부패 척결, 경제 개혁, 친서방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러시아-조지아 전쟁과 권위주의적 통치로 비판받았으며, 퇴임 후 우크라이나 망명, 국적 박탈, 조지아 귀국 후 수감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조지아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직책 | 대통령 |
국가 | 조지아 |
현직 |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
취임일 | 2018년 12월 16일 |
관저 | 오르벨리아니 궁전 |
임명 방식 | 직접 선거 (1991년 ~ 2018년) 선거인단 (2024년 이후) |
임기 | 5년 (재선 가능, 2024년 이후) |
헌법 | 조지아 헌법 |
월급 | 13,000 GEL |
설립일 | 1991년 4월 14일 |
초대 대통령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
부통령 | 의회 의장 |
공식 웹사이트 | 조지아 대통령 공식 웹사이트 |
![]() | |
![]() | |
정치 | |
소속 부서 | 조지아 대통령실 |
역할 | 조지아 국가 원수 |
후임 | |
차기 대통령 | 미헤일 카벨라시빌리 (2024년 12월 29일 취임 예정) |
2. 역사
1991년 4월 9일 조지아가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후, 조지아 공화국 최고 위원회는 4월 14일 행정 대통령 직을 창설하기로 투표하고, 직접 선거가 치러질 때까지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를 대통령 직에 임명했다.[12][13] 감사후르디아는 1992년 1월 6일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1992년 3월 10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를 위해 국가 원수 직책이 도입되었다. 1995년 8월 24일 새로운 헌법 채택 후 대통령 직이 부활했고, 셰바르드나제는 장미 혁명으로 2003년 11월 23일 사임했다.
니노 부르자나제가 대행 대통령으로 잠시 재임한 후, 미헤일 사카슈빌리는 2004년 1월 4일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2007년 조지아 시위 이후 2008년 1월 5일에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013년과 2018년 사이에 대통령의 행정 권한은 조지아 총리와 조지아 정부에게 유리하게 대폭 축소되었다. 2013년 10월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슈빌리가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조지아는 의원 내각제로 전환을 마무리했다.
2. 1. 조지아 대통령직의 기원과 발전
1991년 4월 9일 조지아는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같은 해 4월 14일, 조지아 공화국 최고 위원회는 행정 대통령직을 신설하고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를 대통령으로 임명했다.[12][13] 1991년 5월 26일, 감사후르디아는 국민 직선제를 통해 조지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감사후르디아는 1992년 1월 6일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으나, 1993년 12월 31일 사망할 때까지 망명 대통령으로 활동했다. 쿠데타 이후, 1992년 3월 10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를 위해 국가 원수 직책이 도입되었다. 1995년 8월 24일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면서 대통령직이 부활했고, 셰바르드나제는 1995년 11월 5일 대통령으로 선출, 2000년 4월 9일 재선되었다.
셰바르드나제는 장미 혁명으로 불리는 대규모 시위로 인해 2003년 11월 23일 사임했다. 이후 니노 부르자나제가 대행 대통령을 잠시 맡았고, 미헤일 사카슈빌리가 2004년 1월 4일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사카슈빌리는 2007년 조지아 시위 이후 긴장 완화를 위해 자발적으로 사임하고 조기 대선을 실시하여 2008년 1월 5일 재선되었다.
2013년과 2018년 사이, 대통령의 행정 권한은 조지아 총리와 조지아 정부에게 유리하게 축소되는 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2013년 10월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슈빌리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조지아는 의원 내각제로 전환을 완료했다. 2018년 11월, 살로메 주라비슈빌리는 조지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자, 새 헌법에 따라 직접 선거로 선출된 마지막 대통령이 되었다.[14]
2. 2. 쿠데타와 혼란기 (1991-1995)
1991년 4월 9일 조지아가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후,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는 1991년 5월 26일 전국적인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조지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감사후르디아는 1992년 1월 6일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다.[12][13] 그는 1993년 12월 31일 권력을 되찾으려다 실패하여 사망할 때까지 망명 대통령으로 활동했다.쿠데타 이후, 1992년 3월 10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를 위해 국가 원수 직책이 도입되었다.
2. 3. 셰바르드나제 시대 (1995-2003)
1992년 3월 10일 조지아의 새로운 지도자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를 위해 국가 원수 직책이 도입되었다. 1995년 8월 24일 새로운 헌법이 채택된 후, 대통령 직이 부활했다.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는 1995년 11월 5일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2000년 4월 9일에 재선되었다.[14] 그는 장미 혁명으로 알려진 대규모 시위의 압력으로 2003년 11월 23일에 사임했다.# | 이름 | 이미지 | 취임 | 퇴임 | 정당 | 임기 |
---|---|---|---|---|---|---|
2 |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 ![]() | 1995년 11월 26일 | 2000년 4월 30일 | 조지아 시민 연합 | 1 |
2000년 4월 30일 | 2003년 11월 23일 (사임) | 2 |
2. 4. 사카슈빌리 시대와 헌법 개정 (2004-2013)
미헤일 사카슈빌리는 2004년 1월 4일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4] 그는 2007년 조지아 시위 이후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사임하고, 2008년 가을로 예정되었던 대통령 선거를 앞당겨 2008년 1월 5일에 재선되었다.[14]2010년 10월 15일, 조지아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이 축소되고 조지아 총리와 내각의 권한이 강화되었다.[21] 주요 변경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항 | 내용 |
---|---|
제67조 | 대통령의 의회에 대한 법안 제출권 폐지. |
제68조 | 대통령의 의회 법안 거부권에 대한 의회 측 재가결 기준 완화 (의원 정수 5분의 3 이상 찬성 → 과반수 찬성).[22] |
제73조 제1항 | 대통령의 내각 해임 권한, 내각의 예산안 승인 권한 폐지. 외국과의 교섭, 조약 체결, 대사 임명, 외국 대사 접수 시 내각 승인 필요. |
제73조 제3항 | 내각 및 행정 기관 활동의 헌법, 법률, 대통령령 위반 시 정지 명령 권한 폐지. |
제78조 제4항 | 대통령의 정부 회의 소집·주재 권한, 회의 결정 대통령령 공포 권한 폐지. 국무회의 특정 의제 토론 요청 및 토론 참가 권한만 보유. |
2. 5. 의원내각제 요소 강화 (2013-현재)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슈빌리가 2013년 10월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조지아는 의원 내각제로의 전환을 마무리했다.[14] 대통령의 행정 권한은 조지아 총리와 조지아 정부에게 유리하게 대폭 축소되었다.[14] 2018년 11월, 살로메 주라비슈빌리는 조지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되었으며, 새로운 헌법에 따라 직접 선거로 선출된 마지막 대통령이 되었다.[14]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그녀는 6년 임기를 수행할 예정이다.[14]2010년 10월 15일 개정된 조지아 헌법 제69조에 따르면, 조지아 대통령은 여전히 조지아의 국가 원수, 군 최고 사령관, 그리고 대외적인 국가 대표의 지위에 있다.[21] 그러나 내정 및 외교에 대해 직접 지휘하거나 행사하는 권한의 대부분은 폐지되었거나, 내각 또는 내각을 주도하는 총리에게 이관되었다.[21]
개정 헌법에 따른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21]
조항 | 내용 |
---|---|
제67조 | 대통령의 의회에 대한 법안 제출권 폐지. |
제68조 | 대통령의 의회 법안 거부권에 대한 의회 측의 재가결 기준 완화 (의원 정수의 5분의 3 이상 찬성 → 의원 정수의 과반수 찬성).[22] |
제73조 제1항 | 대통령의 내각 해임 권한, 내각에서 의회에 제출되는 예산안 승인 권한 폐지. 외국과의 교섭, 조약 체결, 대사 임명, 외국 대사 접수를 대통령이 하는 경우 내각의 승인 필요. |
제73조 제3항 | 내각 기타 행정 기관의 활동이 헌법, 법률, 대통령령 기타 규칙에 위반된 경우 정지를 명하는 대통령 권한 폐지. |
제78조 제4항 | 대통령이 정부 회의를 소집·주재하는 권한, 회의 결정을 대통령령으로 공포하는 권한 폐지.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특정 의제에 대해 토론을 하도록 내각에 요청할 권한과 토론에 참가할 권한만을 갖는다. |
2024년부터 조지아의 대통령은 조지아 의회 의원 전원, 압하지야 및 아자리아 자치 공화국 최고 대표 기구 구성원 전원, 지방 자치 단체 대표 기구 구성원으로 구성된 300명의 선거인단에 의해 간접 선거로 선출된다.[8]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한 사람은 두 번만 대통령으로 선출될 수 있다.[8]
3. 선출
3. 1. 자격
조지아의 시민으로서 선거권을 가진 자는 35세 이상이어야 하며, 조지아에서 최소 15년 이상 거주하여야 조지아 대통령으로 선출될 수 있다.[5] 외국 국적을 동시에 가진 조지아 시민은 대통령이 될 수 없다.[6] 조지아 대통령은 정당의 당원이 될 수 없다.[7]
3. 2. 선거 방식
2018년 조지아 헌법에 따르면, 2024년부터 대통령은 조지아 의회 전체 의원, 압하지야 및 아자리아 자치 공화국의 최고 대표 기구의 모든 구성원, 그리고 지방 자치 단체(시)의 대표 기구 구성원으로 구성된 300명의 선거인단에 의해 5년 임기로 선출된다.[8] 동일 인물은 조지아 대통령으로 두 번만 선출될 수 있다.[8] 선거인단 구성원 30명 이상이 조지아 대통령 후보를 지명할 권한을 가지며,[8] 조지아 대통령 선거는 의회에서 10월로 지정한다.[8]
4. 권한과 의무
조지아 대통령은 국민에게 연설할 권한을 가지며, 매년 의회에 주요 국가 관련 문제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한다.[10] 조지아 의회, 조지아 정부 또는 20만 명 이상의 유권자가 요청하면, 요청 접수 후 30일 이내에 헌법 및 법률에 정의된 문제에 대해 국민 투표를 소집할 수 있다.[10] 단, 법률 제정/폐지, 사면/복권, 국제 조약 비준/폐기, 기본 헌법적 인권 제한 문제를 결정하기 위한 국민 투표는 실시할 수 없다.[10]
2010년 10월 15일 개정된 조지아 헌법 제69조에 따르면, 조지아 대통령은 여전히 국가 원수, 군 최고 사령관, 그리고 대외적인 국가 대표의 지위에 있으며,[21] 조지아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21] 다만, 내정 및 외교에 대한 직접 지휘 또는 행사 권한의 대부분은 폐지되었거나, 내각 또는 내각을 주도하는 총리에게 이관되었다.[21]
4. 1. 헌법상 권한
조지아 대통령은 다음의 권한을 가진다.[10]a) 정부의 동의를 얻어 외교 관계에서 대표 권한을 행사하고, 다른 국가 및 국제기구와 협상하며, 국제 조약을 체결하고, 다른 국가 및 국제기구의 대사 및 기타 외교 대표의 신임장을 접수한다. 정부의 지명에 따라 조지아의 대사 및 기타 외교 공관장을 임명하고 해임한다.
b) 조지아 국가를 대표하여 조지아 정교 자치 교회와 헌법 협약을 체결한다.
c) 헌법 및 유기 법률에 따라 의회 및 지방 자치 단체 선거를 소집한다.
d) 정부의 지명에 따라 조지아 국방군 사령관을 임명하고 해임한다. 고등 법무 위원회 위원 1명을 임명한다. 유기 법률에 의해 정의된 경우와 정해진 절차에 따라 조지아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 위원장 및 위원 임명에 참여한다. 정부의 지명에 따라 규제 기관의 위원 후보를 의회에 제출한다.
e) 유기 법률에 따라 시민권 문제를 결정한다.
f) 사면을 한다.
g) 법률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국가 훈장 및 포상을 수여한다. 최고 군사 계급, 특별 계급 및 명예 칭호, 최고 외교 계급을 수여한다.
h) 정부의 권고와 의회의 동의를 얻어 영토 단위의 대표 기관 활동이 국가의 주권 또는 영토 보전, 또는 국가 기관의 헌법적 권한 행사를 위협하는 경우, 해당 기관의 활동을 중단하거나 해산할 권한을 가진다.
i) 헌법에 의해 결정된 기타 권한을 행사한다.
4. 2. 기타 권한 및 의무
조지아 대통령은 국민에게 연설할 권한을 가진다. 대통령은 매년 의회에 주요 국가 관련 문제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한다.[10] 조지아 의회, 조지아 정부 또는 20만 명 이상의 유권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요청 접수 후 30일 이내에 헌법 및 법률에 정의된 문제에 대해 국민 투표를 소집할 권한을 가진다.[10] 단, 법률 제정/폐지, 사면/복권, 국제 조약 비준/폐기, 기본 헌법적 인권 제한 문제를 결정하기 위한 국민 투표는 실시할 수 없다.[10]4. 3. 권한 축소
2010년 10월 15일 개정된 조지아 헌법 제69조에 따르면, 조지아 대통령은 여전히 조지아의 국가 원수, 군 최고 사령관, 그리고 대외적인 국가 대표의 지위에 있다.[21] 조지아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는 점도 이전과 동일하다.[21] 다만, 내정 및 외교에 대해 직접 지휘하거나 행사하는 권한의 대부분은 폐지되었거나, 내각 또는 내각을 주도하는 총리에게 이관되었다. 개정 헌법에 따른 변경점은 다음과 같다.[21]- (개정 헌법 제67조) 대통령의 의회에 대한 법안 제출권 폐지. 이에 따라 법안 제출권을 갖는 것은 내각, 국회의원, 의회 내 회파, 의회 위원회, 압하지야 및 아자리아 양 자치 공화국의 정부, 3만 명 이상의 유권자 단체뿐이다.
- (동 제68조) 대통령의 의회 법안 거부권에 대한 의회 측의 재가결 기준 완화. 종전에는 의원 정수 (150명)의 5분의 3 이상의 찬성이 필요했지만, 현재는 의원 정수의 과반수 찬성으로 재가결이 가능하게 되었다.[22]
- (동 제73조 제1항) 대통령이 갖는 내각 해임 권한과 내각에서 의회에 제출되는 예산안 승인 권한 폐지. 또한, 외국과의 교섭, 조약 체결, 대사 임명, 외국 대사 접수를 대통령이 하는 경우, 내각의 승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 (동 제73조 제3항) 내각 기타 행정 기관의 활동이 헌법, 법률, 대통령령 기타 규칙에 위반된 경우에 정지를 명하는 종전의 대통령 권한 폐지.
- (동 제78조 제4항) 대통령이 정부 회의를 소집·주재하는 권한, 그리고 회의 결정을 대통령령으로 공포하는 권한 폐지.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특정 의제에 대해 토론을 하도록 내각에 요청할 권한과 토론에 참가할 권한만을 갖는다.
5. 탄핵
조지아 국회의원 총수의 1/3은 조지아 대통령 탄핵 소추를 제기할 권한을 갖는다. 국회의원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받으면 대통령은 탄핵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상사태 또는 계엄령 기간에는 대통령 탄핵 절차가 헌법상 금지된다.[9]
6. 대통령 권한 대행
대통령의 사임, 사망 또는 탄핵 시에는 의회 의장이 새로운 대통령이 임명될 때까지 임시로 직무를 수행한다.[10] 2003년과 2007년에 조지아에서 이러한 사례가 있었으며, 두 경우 모두 대통령이 조기에 사임하여 새로운 선거가 치러지기 전에 의회 의장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두 경우 모두 당시 의장이었던 니노 부르자나제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으며, 그녀는 이 직책을 맡은 유일한 인물이었고, 조지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지아 최초의 완전한 선출직 여성 대통령은 현재 이 직책을 맡고 있는 살로메 주라비슈빌리이다.
7. 면책 특권
조지아 대통령은 면책특권을 누린다. 대통령 재임 중에는 누구도 대통령을 구금하거나 형사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10]
8. 대통령 목록
# | 이름 | 이미지 | 취임 | 퇴임 | 정당 | 임기 |
---|---|---|---|---|---|---|
1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 ![]() | 1991년 4월 14일 (지명) 1991년 5월 26일 (취임) | 1992년 1월 6일 (퇴임 선언) 1993년 12월 31일 (재임 중 사망) | 라운드 테이블-자유 조지아 | 1 |
2 |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 1995년 11월 26일 | 2000년 4월 30일 | 조지아 시민 연합 | 1 | |
2000년 4월 30일 | 2003년 11월 23일 (사임) | 2 | ||||
니노 부랴나제 (권한 대행) | ![]() | 2003년 11월 23일 | 2004년 1월 25일 | 통합국민운동당 | ||
3 | 미헤일 사카시빌리 | ![]() | 2004년 1월 25일 | 2007년 11월 25일 | 통합국민운동당 | 1 |
니노 부랴나제 (권한 대행) | -- | 2007년 11월 25일 | 2008년 1월 20일 | |||
미헤일 사카시빌리 | -- | 2008년 1월 20일 | 2013년 11월 17일 | 1 | ||
4 |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슈빌리 | 2013년 11월 20일 | 2018년 12월 16일 | 조지아의 꿈-민주 조지아 (~2013) 무소속 | 1 | |
5 |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 ![]() | 2018년 12월 16일 | 2024년 12월 29일 (예정) | 조지아의 방식 (2006~2011) 무소속 | 1 |
6 | 미하일 카벨라슈빌리 | ![]() | 2024년 12월 29일 | 민중의 힘 (2022~2024) 무소속 | 1 |
9. 대통령 행정실
조지아 대통령 행정실(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პრეზიდენტის ადმინისტრაცია|trka, 때로는 '''조지아 대통령실'''로 번역됨)은 조지아 헌법 및 조지아 대통령을 위한 기타 법률 행위에서 정의된 권한 행사를 지원하고 조직하는 기구이다. 조지아 대통령 행정실은 2004년 2월 14일 조지아 대통령 미헤일 사카슈빌리의 60호 칙령에 의해 설립되었다.[15] 행정실은 활동 시 조지아 헌법, 조지아 법률, 조례 및 조지아 대통령의 기타 법적 행위에 의해 지침을 받는다. 행정실의 구조 및 운영 규칙은 조지아 대통령이 결정한다.
10. 대통령의 상징
조지아 대통령기는 중앙에 조지아 국장이 새겨진 조지아 국기를 변형한 것이다. 대통령기는 대통령 집무실, 총리실 건물, 기타 정부 기관에서 사용되며, 조지아 영토 내에서 대통령을 태운 차량에 차량 기로 사용된다.
참조
[1]
PDF
https://www.transpar[...]
2022-03
[2]
웹사이트
Georgia increases the president's salary
https://dfwatch.net/[...]
Democracy & Freedom Watch
2013-12-11
[3]
간행물
2018
[4]
웹사이트
The Law of the Republic of Georgia on the Introduction of the Post of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Georgia
http://www.parliamen[...]
2011-04-17
[5]
간행물
2018
[6]
간행물
2018
[7]
간행물
2018
[8]
간행물
2018
[9]
간행물
2018
[10]
웹사이트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კონსტიტუცია
https://matsne.gov.g[...]
[1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sps.gov.[...]
2011-04-24
[12]
웹사이트
Georgians create powerful presidency
https://www.chieftai[...]
[13]
웹사이트
Georgian parliament elects new president
https://www.tampabay[...]
1991-04-15
[14]
뉴스
Key Points of Newly Adopted Constitution
http://civil.ge/eng/[...]
2017-12-09
[15]
웹사이트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პრეზიდენტის ადმინისტრაციის შექმნის შესახებ
https://www.matsne.g[...]
www.matsne.gov.ge
2019-01-08
[16]
웹사이트
Georgia increases the president's salary
https://dfwatch.net/[...]
Democracy & Freedom Watch
2013-12-11
[17]
서적
『世界年鑑2016』
2016
[18]
간행물
2018
[19]
간행물
2018
[20]
간행물
2018
[21]
논문
グルジア 憲法改正と議院内閣制への移行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2-11
[2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